안녕하세요 조현정동장애와 공황장애를 가진 신경다양인이자 정신장애인인 왈왈입니다. 현장의 발언을 맡게 되었습니다. 신경다양성의 개념은 뇌신경 차이로 인해 발생되는 다름을 인정 하는 것입니다. 아직 정착화 하기보단 그 개념도 넓혀 가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자폐스펙트럼이나 ADHD만 인정 했다면 조현스펙트럼, 조울스펙트럼, 성격장애스펙트럼 등등도 인정하는 추세입니다. 신경다양성을 처음 접하는 분들게 이런 이야기를 하고 싶습니다. 신경다양인과 정신장애인은 사실 스펙트럼입니다. 개념은 넓고요. 그래서 신경다양인 중 정신장애인은 등록된 장애인도 있지만 법외/미등록/경계선 장애인도 있습니다. 그리고 신경다양성 정신장애인 중 재판정을 받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장애등록 되어 있지 않다고 이야기를 함부로 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이런 말을 들어 본 적이 있습니다. 정신장애인도 병원이 아닌 지역 사회에 살고 싶습니다. 신경다양인으로 사는 기쁨은 저의 경우를 이야기 하자면 제 아픔이 사회에 도움 될 수 있을 때 기쁩니다. 제가 신경다양인으로써 정신장애인으로써 정신이 남들과 다른 사람들을 같이 만나고 이야기 나누고 제 경험이 남들에게도 도움될 때 기쁩니다. 반대로 슬픔이 있습니다. 저는 차별 당할 때 슬픈거 같습니다. 이런 말을 들은 적이 있습니다. 다들 정신질환이 있다. 단지 약을 먹을 정도로 심하나 아니나 차이 일 뿐 이라고요. 다들 하나씩 질병을 가지다가 살 수 있지 않습니까? 근데 왜 저는 차별을 받거나 언제 정신병원에 감금 되는 두려움을 가져야 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대표적으로 정신장애인은 취업이 어렵다고 들었습니다. 그리고 장콜도 보행이 불가능 하다고 판정을 받고 보호자 하에 가능하다고요. 이동권도 노동권도 다 침해 받는 상황에서 슬픈 게 참 많습니다. (생각 나면 적기) 신경다양인인 정신장애인과 관계를 맺는 건 다양하다고 느낍니다. 증상이 일어나도 배려 받고 나쁜 시선으로 보지 않고요. 정신장애인이라도 다 다르기 때문에 일반화 하면 안 되지만 그냥 사람이라고 알려 줬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병원에서만 살 수 있게 만들고 선택권도 없이가 아니라 지역사회에서 같이 살아야 하는 걸 체험하고 선택 했으면 좋겠습니다. 정신장애인 중에서 가족과 사이가 안 좋은데 집과 병원 밖에 갈 곳이 없어서 결국 병원에 간 사람도 있고 집 밖을 못 나가서 서비스 못 받는 사람도 많습니다. 물론 시민단체도 같이 함께 노력 해서 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발언을 마칠게요.